흔히 사람을 망각의 동물이라 말한다.[각주:2] 이유야 당연하겠지. 당장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떠올려 보라고 한다면, 우리는 얼마나 자세히 기억해낼 수 있을까. 하지만 수많은 군중 속에서도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콕 찍어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이 기억이다.
무덤덤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자신의 지나온 기억을 되짚어 보게 된다. 사진 한 장, 시 한 구절로도 우리는 많은 것들을 생각해 내며 때론 그 것들이 추억이 되기도 하고 쓰디쓴 아픔이 되기도 한다.
아 슬프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즐거운 일들을 잊으며 사는가. 자신의 인생 중 가장 기뻤던 순간을 말하라면 당신은 얼마나 빨리 이야기할 수 있는가. 아이러니한 것은 즐거운 기억 들이 너무 적어서가 아니고 너무 많아서 우리는 대답을 망설인다. 그 많은 즐거움 들 중에서 무엇이 가장 기뻤던 순간인지 비교하느라. 왜 우리는 그러면서도 인생이 즐겁지 않다고 외치는가. 왜 그렇게 잊으며 살아가는가.
큰어머니와 손주
요새미티 폭포 앞 무지개
아 다행이다. 그렇게 망각의 연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우리는 슬퍼하지 않고 망각한다는 사실조차 잊고 살아간다. 어쩌면 잊을 수 있기에 살아가는가 싶다. 물고기가 그 좁은 어항에서 스트레스 없이 살아남을 수 있는 비결은 바로 자신의 2초 이전을 기억 못 하기 때문이라지.[각주:3]
한국 전쟁
하지만 잊어서는 안 될 것들이 있다.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이 있다. 가족, 역사, 문화, 그리고 우리의 일상적인 나날 들. 우리는 너무나도 소중한 세상 속에서 어김없이 흐르는 순간순간 들을 놓치고 싶지 않아 기록이라는 테두리 안에 기억 들을 가두어 놓는다.
우리는 기록한다. 망각의 동물이 만들어낸 유일한 흔적.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겠지만, 사람은 죽어서 기록을 남긴다.
캠코더와 카메라
글로만 기록되던 기억은 사진, 그리고 소리와 영상으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더 사실 같은 기록 속에 가두어졌다.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인터넷에 접속해 동영상으로 지난밤 야구 경기의 9회 말 2아웃 상황을 지켜볼 수 있게 되었고, 그 영상을 가져와 자신의 블로그에 연결시켜 자신의 기억으로 만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