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Creation! Media & Robot  
Front Page
Tag | Location | Media | Guestbook | Admin   
 
[펌] 한국에서 연구하기 싫어지는 이유
Koosy Koo. 형의 글 그대로 가져와 공유함


한국에서 연구하기 싫어지는 이유. 
1. 과제는 정치적으로 선정되어 연구원한테 떠 맡겨짐.
2. 타당성 조사도 하기 전에 최종 결과물에 대한 스팩이 정해짐. 
3. 그 스팩을 달성하기 위한 기간은 최대 3년
4. 연구 진행중에 재정 및 인력운영에 대한 유연성이 적음. 즉, 초기 계획과 조금이라도 바뀌면 사유서 및 소명서 제출. 
5. 요즘은 출장갈 때 자가용 가져가면 톨비만 제공, 기름값도 안나옴. 
6. 요구 실적은, 논문, 특허, 시제품 데모, 기술이전, 사업화 등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모든걸 다 이루라고 함. 
7. 박사급 전문가들은 기획회의, 발표, 세미나, 예산집행, 문서작업 등에 집중하고, 실제 연구는 석사 및 학연 학생 연구원들이 수행함.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딱 석사 졸업논문 수준..)
8. 결과가 최초 (말도 안되게 작성한) 스팩요구조건에 못미치면 '실패', 달성하면 '성공', 이분법적으로 과제가 평가됨. 
9. 과제가 성공하면 본전 실패하면 과제비 환수, 문책 등 연구자가 재기 불능상태에 빠지게 됨. (따라서 우리나라 연구과제 성공률은 거의 100%에 육박함)
10. 따라서 연구과제는 처음부터 목표스팩을 낮추어 잡거나, 평가 방법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실패할 수 없는 과제를 기획함. (누가 그랬는데.. 실패 없는 연구는 연구를 하지도 않은거라고.. )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국책연구과제는 '석사수준 연구를 하는 척'만 하게 됨.. 
이런 환경에서 수행된 이번 '로봇물고기' 연구의 '실패' 책임을 연구원들에게만 물을 수 있는지?? 
아마 실제 죄목(?)은 청와대에서 떨어진 엉터리로 기획된 과제를 처음부터 거절하지 못한 죄?


July 30



BLOG main image
미디어와 로봇에 관심이 많은 아이 그 영역을 넓혀보려 합니다. '영상 제작'과 '감정 로봇'이 블로그의 주소재입니다. 자유로운 답글 환영합니다!
 Notice
 Category
전체보기 (749)
내가 사랑하는 MJ (0)
아이가 생긴다면 (4)
Media (98)
Robot (447)
타인과 약자를 위한 (81)
Etc. (118)
 TAGS
연구
 Calendar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Recent Entries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Archive
 Link Site
LeeCreation! Media & Robot
 Visitor Statistics
Total :
Today :
Yesterday :
rss